단축키
F2 : 유머 랜덤
F4 : 공포 랜덤
로그인
① 골 11.6 %
① 사건 12 %
① ㅇㅎ 25.8 %
① 친구 17.4 %
① 블루아카 34.2 %
정치경제 한국
1. 긴축? 돈풀기?···알쏭달쏭 2024년 예산안 2. 중국 경제, 이대로 망하나요? 궁금해서 물어보니 外 (경제 뉴스들)
2023.09.02 15:15
관리자2(adm****)

전 세계가 `탈중국`...중국, 해볼 테면 해봐라?

<출처 : YTN, https://www.ytn.co.kr/_ln/0134_202306250904015022 >

* "디커플링"과 "디리스킹"은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두 가지 방법론

 - 디커플링 : 완전한 분리

 - 디리스킹 : 위험분산

img.png


* 핵심 광물 자원의 중요성은 전기차와 녹색 에너지 산업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부각
중국은 핵심 광물 자원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엄청난 의존도를 초래

img.png


호주는 중국의 광물 자원 독점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하고 광물 생산국으로 세계적인 위치를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img.png


* 다양한 국가가 중국에 대한 광물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제 포럼인 Quad(쿼드)가 핵심 광물의 공급망을 재구성


img.png


* 중국의 독점적 지배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며, 다양한 공급망을 확보하고 외교적 유연성을 확장해야
* 중국과의 완전한 분리는 어려울 수 있지만,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장기적인 투자가 중요

 - 즉, 우리가 지향해야할 것은 "디리스킹 : 위험분산"





긴축? 돈풀기?···알쏭달쏭 2024년 예산안

<출처 : 서울경제, https://v.daum.net/v/20230902120040947 >

* 2024년도 예산안이 발표되었으며, 총지출 증가율은 2.8%로 20년 중 가장 낮은 수준

7e5a59b7041d582a7ea1197e83878922_1693635351_7335.jpg

* 보조금 사업과 연구개발(R&D) 등에서 23조원을 삭감하여 2년 연속 20조원 이상의 긴축을 시행
* 정부는 국가채무 상승을 고려하여 예산안을 마련
* 이로 인해 실질적인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내년에도 100조원에 가까울 것으로 예상
* 정부가 재정준칙을 벗어나기 위해 총지출 증가율을 2.8%로 결정했으며, 건전 재정을 유지하기 위한 판단
* 세수 부족 문제가 총지출 증가율을 높이는 배경 중 하나이며, 국세수입이 줄어듬.
* 세금 감면 정책으로 세금을 낮추려 하지만, 재정 건전성을 위해 세수 정상화가 필요한 상황

img.png


* 내년도 총수입은 현재의 예상치보다 13조6000억원 감소하여 612조1000억원으로 예상
* 국세수입이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되며, 국가채무 역시 상승할 것으로 보여
* 정부는 중기적인 관리재정수지와 국가채무비율 목표를 설정하여

 -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려고 노력

 - 세수 부족 문제가 계속




중국 경제, 이대로 망하나요? 궁금해서 물어보니

<출처 : 동아일보, https://v.daum.net/v/20230902100009745 >

* 중국 부동산 시장이 큰 위기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경제 폭망론이 증폭되고 있다.
* 중국 최대 부동산 개발회사인 비구이위안은 역대급 적자(2023년에만 9조원)를 기록하고 부동산 시장 침체로 공사가 중단되고 있음.
* 중국 정부는 부동산 시장 부양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기준금리 인하 및 다주택자 규제 완화 등이 나옴.
부동산 비중이 중국 GDP의 25%를 차지하므로 부동산 시장의 얼어붙음이 소비에도 영향을 미침.
*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부양책을 계속 발표하고 있지만 그 효과를 확인하기까진 시간이 필요하며 시장은 여전히 불안함.
* 중국 정부의 추가 대책으로는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하, 구매 제한 해제, 주택 구매시 보조금 지급 등이 언급됨.
* 예금금리 인하와 지급준비율 조정이 중국 통화정책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됨.
지방정부 부채 문제에 대한 조치도 예정되어 있으며, 지방정부의 자금 조달 문제가 인프라 투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중국 부동산 시장이 중요한 경제 지표인 GDP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부동산 시장 안정화가 필수적임.
* 팬데믹으로 인한 소비심리의 악화로 더 과감한 경기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됨.

* 중국 경제가 부동산 시장 균열과 비구이위안 사태로 위기론이 부각되고 있으며, 시진핑 주석의 부동산 부양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음.
* 중국 정부는 부동산 부양을 계속할 의지를 보이고있음.
9월과 10월이 부동산 성수기인데, 주택 거래의 실제 회복과 미래 대책 발표가 중요한 관건
`피크 차이나`론은 10년 전부터 나왔지만, 중국 경제가 부동산 위기 때문에 망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여전히 남아있어
* 중국은 여전히 연 5% 성장하고 있으며, 아직 성장 여력이 있는 상태

단, 중국 경제정책을 제대로 펼칠 경제 전문가의 부재가 큰 문제
* 중국 정부의 추가 정책조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추천, 관련글
에펨코리아
보배드림
디씨인사이드
인스티즈
루리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