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우리나라 연구진이 발명한 LK-99에 대한 전세계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img.png](https://blog.kakaocdn.net/dn/O0rfM/btspNO05Bi3/JXSz2HHu4QY1K3YztFaeRK/img.png)
퀀텀에너지연구소와 한양대 연구진이 지난달 27일 납 기반의 상온·상압 초전도체(LK-99)를 개발했다는 연구에 대한 해외 연구진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LK-99의 구조를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한 결과 높은 온도에서도 초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결과가 주요 내용이다. 하지만 이번 결과는 시뮬레이션 결과이지 실제 물질을 만들어 실험 결과를 얻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여전히 검증해야할 부분들이 있다.
시네이드 그리핀(Sin´ead Griffin)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 연구원은 지난 달 31일(현지 시각)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 ‘아카이브’에 “LK-99의 구조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기존 초전도체들보다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성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리핀 연구원은 논문 말미에 “대량의 초전도 샘플을 얻기 위해 물질 합성 문제가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지만 새 물질이 높은 초전도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는 흥미로운 이론적 징후를 보여줬다”며 “추가 조사에 박차를 가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분석은 미국 에너지부 기초에너지과학사무소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새 결과가 공개되면서 추가 검증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른 연구자들의 추가 검증 분석 결과들도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
그리고 중국의 카이스트라 불리는 대학교(화중과기대학)에서도 긍정적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img.gif](https://blog.kakaocdn.net/dn/bSwZM0/btspHZIWyVe/ylxAxOe1dgA0UTfzA8RIo0/img.gif)
https://www.bilibili.com/video/BV14p4y1V7kS/?buvid=Y641B769DA990F1F4B908D07B11CB4F868DD&is_story_h5=false&mid=D6bdpBjpRxydUQK1N1wc2Q%3D%3D&p=1&plat_id=114&share_from=ugc&share_medium=iphone&share_plat=ios&share_source=COPY&share_tag=s_i×tamp=1690874424&unique_k=ufT8Arx&up_id=7590247
원본영상 출처에 초전도체 실험 설명보면
Huazh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재료과학기술대학원 박사후 연구원 Wu Hao와 박사과정 학생 Yang Li가 Chang Haixin 교수 지도하에 자기부상이 가능한 LK-99 결정체 검증 및 합성에 성공 더 크게 "비접촉식 초전도 자기부상 실감 구현이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img.png](https://blog.kakaocdn.net/dn/rM2I3/btspomy107H/hQH0Ka6gUVtzVgRqjKg7ZK/img.png)
저 Chang Haixin이라는 사람은 실제로 위 대학의 대학교수가 맞는 것 같습니다. 또한 아래 연구결과 자료를 토대로 밝혀진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img.png](https://blog.kakaocdn.net/dn/tSmjb/btspOClSdR7/uTCVQHCupENxEWmqt4eik0/img.png)
* DFT +U (correlation계산)에 대한 자세한 자료가 추가되었고,
* Mott-Hubbard 계산을 해볼 수 있는 상황이 되었고
* 실험데이터와 비교가능한 계산이 나와야하는 상황까지 이뤄졌다고 합니다.
****
해외 커뮤니티 사이트에선 이런 밈도 떠돈다고 하네요.
![img.jpg](https://blog.kakaocdn.net/dn/ZjTzI/btspsG40ajr/DZPE4JHrrPMIwMjmvwkbYk/img.jpg)
![img.jpg](https://blog.kakaocdn.net/dn/bWFvvz/btspokVuWbC/wuBWWSL2Hcmc76Q9TPUc3k/img.jpg)
현재 해외에서도 엄청난 관심을 갖고 있다는 방증이네요.
***
그리고 미국 산하 연구소에서도 긍정적으로 밝혀졌다고 합니다.
![img.png](https://blog.kakaocdn.net/dn/cs3bpm/btsppHQKFKm/Q6ZEpl7Uc3NY74KzoTKJhK/img.png)
미국 에너지부 산하 국립연구소 LBNL(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에서
초전도체 여부에 긍정적인 시뮬레이션 논문 등록
- 어쩌구 저쩌구 해서 초전도체 맞는 것 같음
- 하지만 제작이 쉽진 않을듯. 구리 원자가 납 원자에 스며들어 변형이 되어야 하는데
정말 아다리가 딱 맞는 부분만 변형될 수 있음
- 해당 트윗 댓글에서, `얼마나 확신하냐` 라고 누가 물으니 `콜옵션 ㄱㄱ`라고 답변
아래 글은 영어 원문
![img.png](https://blog.kakaocdn.net/dn/bvuSlx/btspsFE5yNM/ppyL5a9k7f8dGChDTKStp1/img.png)
***
또한 버클리대에서도 긍정적이란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img.jpg](https://blog.kakaocdn.net/dn/w3YoD/btspsWmAMUY/HDYtI8LYosvGgju4G1a7e0/img.jpg)
![img.jpg](https://blog.kakaocdn.net/dn/bD3nSP/btspNgpQlLf/QR06MpMvVg4JoWhFCRR6lk/img.jpg)
***
초전도체가 상용화 된다면 인류의 엄청난 도약이라고 합니다.
- 자기 이용
- 전기 이용
- 전선 - 송전 효율이 거의 100%가 된다. 따라서 송배전 전압을 지금처럼 매우 높게 유지하지 않아도 되며, 대용량 직류 송전기술이 비약적이고 진보한 방향으로 성장할 것이다. 세계를 연결하는 대용량 전력망 구축이 일어날 것이다. 세계의 전력사용량은 일정하므로 국가별 전력피크, 부족, 심야전기 낭비 문제가 거의 해결되고, 신재생에너지가 풍부한 국가로부터 주요 에너지 소비 국가들이 에너지를 받게 될 것이다. 또한 변전소와 송전탑 갯수가 줄어들어 님비현상으로 인한 반대 시위를 잠재울 수 있다.
- CPU, GPU 효율과 성능이 극대화가 된다. 그리고, 전자기기의 발열을 걱정하지 않고 가용한 기술력의 최대 한계치까지 극한의 성능을 뽑아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효율은 물론이고 성능 자체도 최대치로 극대화가 될 것이다. 게다가, 발열을 식히는 쿨링이 더 이상 필요없어지므로 소음이나 고장도 거의 없어지고 전자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지는데다 관리가 편리해지고 수명까지 현재보다 더욱 길어진다. 특히, 거의 모든 모바일 기기들은 성능과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비약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 축전기 - 전극판과 연결 도선의 등가 직렬 저항(ESR)이 없어지게 되어 노이즈를 더 효과적으로 제거하거나, 순간적으로 매우 강한 전류를 출력할 수가 있게 된다.
- 에너지 저장 체계 - 닫힌 초전도 코일 내에서 전류가 무한히 맴도는 성질을 이용하여 배터리 대신 전력을 저장하는 장치를 만들 수도 있다.
- 회로설계가 비교적 간편해진다. 도선의 저항을 나타나던 많은 비선형 미분방정식이 선형화되어 쉽게 해결할 수 있어진다.
- 과전류로 인한 전기화재 사고가 줄어들고, 전자기기의 가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항(=발열)이 줄어들어면서 적절한 차폐만 되어있다면 전자기기의 수명도 대폭 길어지게 된다.
위 글의 출처는 나무위키인데 그야말로 실생활에서 엄청 활용되고 좋은 방향으로 흘러갈 것 같네요. 아직 시작과 연구단계에 불과하지만 LK-99의 비상을 기대합니다.
![img.png](https://blog.kakaocdn.net/dn/bL6H6f/btspOCzpS6H/nehcCgghLtSXRtwALsVvlK/img.png)
추가짤)
![img.png](https://blog.kakaocdn.net/dn/bZuEGg/btspH2yVdle/iiHYk1xAAREqpRTW7FRvJ1/img.png)
![](/images/icon_arrow_right.png)